다채널 보험 청약시대, 컨텐트 관리 솔루션으로 미리 준비
[ 1989 년 국내에 첫 발을 내딛은 ING 생명은 지속적 성장과 함께 많은 채널을 확보하고 , 국나 진출 외국계 보험사 중 1 위에 올라섰다 . 그러나 국내 보험 업계 전체로 보면 4 위 , 업계 3 위를 목표로 하고 있는 ING 생명은 보험 청약 채널의 다변화를 일찌감치 감지하고 , 인터넷 보험 청약 시스템을 구축 , 이에 따른 컨텐트 관리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해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의 컨텐트 관리 솔루션을 도입해 큰 성과를 거두었다 . ] ING 생명은 외국계 회사이기 때문에 다른 기업에 비해 직무가 더욱 세분화 되어 있으며 , 각각의 메뉴별로 컨텐트 운영자가 따로 있고 , 부서별 업무 영역과 권한 등이 복잡하게 얽혀있어 중앙제어 관리가 잘 이루어 지지 않았다 . 특히 인터넷 비즈니스를 담당하는 부서가 따로 존재하지 않고 마케팅 부서에서 운영을 IT 부서에서 개발을 담당해 웹사이트 관리가 쉽지 않았다 . ING 생명 마케팅부 김윤희 대리는 “ 웹사이트 관리의 가장 큰 문제점은 컨텐트의 빈번한 업데이트이다 . 컨텐트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우선 마케팅 부서에서 IT 부서에 개발을 요청하고 , 변경된 컨텐트에 대해 다시 마케팅 부서에서 확인 작업을 거쳐야 했다 . 업무 프로세스나 인력 등에서 비 효율적이었다 . “ 고 밝혔다 . 또 ING 생명은 네덜란드계 회사이기 때문에 국내 기업이나 , 미국계보다 감사 , 규정이 매우 철저하다고 전한다 . 본사 그룹 차원에서 감사 , 해킹방지 , ID/ 비밀번호 관리 정책을 중시했기에 운영과 개발 부서를 분리했다 . 또한 회사의 정보 유출방지를 위한 많은 툴들이 있어 오타와 같은 간단한 실수도 처리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검수를 받고 개발해야만 했다 . 예를 들어 웹사이트의 간단한 오탈자를 수정하려고 해도 운영자가 관리자에게 수정을 요청해 승인을 득한 후 개발자가 직접 수정하는 프로세스였기 때문에 신속한 대처가 어려웠고 업무 프로세스도 비효율적이었다 . 이에 따라 웹사이트 작업에서 개발과 컨텐트 관리를 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