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tter Letter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의 최신소식을 알려드립니다.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 왜 시스템을 쪼개서 만들까요?

Community
2025. 04. 11

안녕하세요,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입니다.

오늘은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요즘 많은 기업들이 시스템을 쪼개서 개발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왜 이렇게 번거롭게 쪼개서 만드는 걸까요?

MSA를 처음 접하는 분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나씩 풀어보겠습니다!

"MSA란?""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MSA는 Micro Service Achitecture의 줄임말로, 말 그대로 시스템을 기능 단위로 잘게 쪼개서 독립적인 서비스로 운영하는 아키텍처입니다.

예를 들면 결제 기능은 ‘결제 서비스’, 로그인은 ‘인증 서비스’, 검색은 ‘검색 서비스’처럼
각 기능을 하나의 작은 시스템처럼 개발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이렇게 쪼갠 서비스들은 서로 API를 통해 통신하며 하나의 시스템처럼 동작합니다.

"기존 시스템 구조는 어떤 문제를 안고 있었을까?"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과거에는 대부분의 시스템이 모놀리식 구조(Monolithic Architecture)로 개발되었습니다.
이 모놀리식 구조는 소프트웨어의 모든 구서요소가 한 프로젝트에 통합되어있는 형태입니다.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 결제, 배송 등 모든 기능이 하나의 프로젝트 안에 들어있고, 코드도 한 곳에 모여 있는 구조였습니다.

처음 만들 땐 빠르게 구축할 수 있었지만, 시스템이 커지면서 유지보수와 기능 추가가 점점 어려워졌습니다.
어디 하나만 고쳐도 전체를 다시 빌드하고 배포해야 하고, 일부 기능이 오류를 내면 전체 서비스가 멈출 위험도 있었습니다.

"MSA를 사용하는 이유"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MSA의 가장 큰 장점은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구조라는 점입니다.
기능을 쪼개 놓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검색 기능에 새로운 옵션을 추가하고 싶을 때 검색 서비스만 수정해서 배포하면 됩니다.
다른 서비스엔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더 빠르고 안전하게 기능을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장애가 발생했을 때도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결제 시스템에 문제가 생겨도 로그인이나 검색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MSA가 개발자에게 좋은 이유"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MSA는 개발자 입장에서도 자율성과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각 서비스는 독립적으로 개발되기 때문에, 서비스별로 최적의 언어와 기술 스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필요에 따라 어떤 팀은 Python을 쓰고, 어떤 팀은 Java를 써도 괜찮습니다.
또한 코드 간섭이 줄어들기 때문에 팀원 간 충돌도 줄고, 각자 맡은 서비스에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집니다.

"MSA는 모든 상황에 적합할까?"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MSA는 도입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도 많습니다.
서비스 간 통신, 데이터 정합성, 장애 대응 등 복잡한 설계가 필요합니다.
시스템이 크지 않은데 억지로 쪼개면 오히려 개발 속도가 더 느려질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보통은 처음부터 MSA로 시작하기보다는, 일정 규모 이상이 되었을 때 점진적으로 전환하는 방식이 권장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MSA를 사용하는 건 빠르게 변화하고 성장하는 환경에서 더 유연하고 민첩하게 대응하기 위해서입니다.
처음엔 복잡해 보이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빠른 배포, 장애 격리, 팀 단위 개발 등의 이점이 명확하게 드러나는 구조입니다.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의 ICE Platform: MSA 기반의 유연한 솔루션"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는 MSA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ICE Platform 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 생태계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ICE는 사용자(고객, 관리자)가 사용하는 서비스 계층부터 데이터 계층까지 단계별로 구성되며,
DevOps 기반의 개발환경을 지원하는 플랫폼입니다.​
ICE Platform은 CMS, e-Commerce, 캠페인, 마케팅, 분석 등과 자유롭게 연계할 수 있어,
다양한 비즈니스 요구사항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또한, Vue.js와 React와 같은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 Docker와 Kubernetes와 같은 컨테이너 기술을 활용하여 신속하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합니다.
오늘은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에 대해 함께 알아보았습니다.
또한, 저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의 ICE Platform이 어떻게 MSA 기반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도 소개해드렸습니다.
앞으로도 유익한 IT 이야기를 가지고 찾아뵙겠습니다.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하단 문의하기를 통해 궁금한 점을 남겨주시면 확인 후
담당자가 상세히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문의하기